카테고리 없음

인수인계

위니쓰 2012. 2. 25. 23:34

1. 구성 관리
 1) DB 구성현황 (아래 6개 항목에 대해서는 파악이 필요함)
   - DB Version/Disk 구성/Server OS 종류 및 Version 등등 파악
   - 해당 DB의 Init. Parameter 정보 (메모리 Size/ 구성 정보 등등)  
   - 해당 DB의 구성 아키텍쳐 (HA/RAC/Standby가 되어 있는지 등등)
     = DB 전용인지, App Server와 혼용인지
   - 평균 Session/Logical/Physical/CPU/Active Session 사용률 등등    
   - 해당 DB의 Application의 종류/이름/용도/성격 및 해당 담당자 정보 파악(가장 기본적인 사항)
   - Application 수행되는 배치 작업의 빈도 및 주기 등  
  
2. 운영 관리
 0) 년/월/일 정기 작업 및 모니터링 항목 파악 및 직접 수행
   - 일 : tablespace usage check
   - 월 : partition truncate, 통계정보 갱신( 9i 대상 ), 주요 시스템 trend 분석
   - 년 : partition add( 매년 2월 이내 )
 
 1) Tablespace 모니터링 (일 정기)
   - 전체 DB의 개략적인 Data Size 파악
   - Raw Device Map 관리
   - 전체 DB의 Data 증가 트랜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 달정도는 직접 모니터링후  Datafile 추가 등의 작업을 직접 해보는것이 필요
       
 2) CSR 처리
   - 전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요청들이 접수/처리 되고 있는지 파악하고, 필요에 따라 담당자와 협의 하고(CSR 처리하면서 App 담당자와 많은 아규 발생)
     작업시 영향도를 파악하여 이슈사항(M11MES 작업시는 상당한 Risk가 발생할 수 있음)을 제거 하기 위해

     3개월 정도는 직접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       
 3) 파티션 테이블 관리 (직접 수행이 필요)
   - 일반 테이블에서 파티션 테이블 전환 작업 및 추가/분할 작업
   - 보관주기가 설정된 파티션에 대한 적용 작업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Data Archive 정책 파악 필요(월정기)
  
 4) 신규 프로젝트시, 직접 참여하여 수행함으로써 프로젝트시 자동화2팀 DBA에 무슨 일은 하는지 파악 가능
    (Project 검토 -> Capa 산정(App & Oracle TCS) -> Oracle Version & Patch 분석(Oracle ACS)
      -> DB User 계정 협의(App) -> DB 설치 -> 모니터링 Tool 설치(Exem)
      -> Script 설정 및 Backup 구성(Backup 담당자) -> DB 및 App. 안정화 작업 둥)
  
3. 성능 관리
 1) MaxGauge를 통한 성능 개선
    - 전체적인 트랜드 분석을 통해 성능 개선
 
 2) 심각한 이슈 발생(SMS)시, 주간/야간 처리 능력.
   - 발생 이슈에 대한 간략 체크 후 관리자(파트장) 선보고
   - App 담당자와 협의하여 서비스 영향도 파악
   - 긴급 조치 실시
   - 정확한 원인 분석 실시 후 사후 조치(예방책 확보 및 적용)  
 
 3) 간단한 이슈 발생(Hard Parsing/Lock/DeadLock등등)시,
    분석 및 App. 담당자에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Communication 능력
 
 4) Disk 가용 공간 부족시 DB Reorg. 작업 능력